건강한 연애/결혼을 유지 |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건강한 연인관계 맺기 


건강한 연애란?


- 전통적인 결혼 서약에는 우아한 대칭성이 있다. 그러나 사랑은 대칭이 아닌데, 우리 대부분은 사랑이 얼마나 균형을 잃을 수 있는지 알지 못한다. 결혼이나 다른 관계에서 좋은 것 보다는 나쁜 것이 훨씬 더 큰 영향을 미친다.

부정성의 힘이 판단력을 흐리면서 배우자 · 친구 · 자녀가 멀어지게 행동하게 되고, 가벼운 갈등 만으로도 관계를 망치는 결과를 불러온다

 

- 부정적인 생각의 시작은, 나에게 감사할 줄 모른다는 데서 출발해서, 그들의 다른 실수를 과장하게 만든다. 이유는, 당신도 자신의 감정을 과대평가하게 만드는 내적 과신에 편향되어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당신은 배우자 · 친구 · 자녀가 어떻게 그렇게 이기적이고, 내가 기울인 노력을 몰라줄 수 있는지 이해하지 못하게 된다. 

 

왜 사람들은 나에게 고마워하지 않을까?

 

- 부부의 행복을 추적한, 심리 연구에서 그 대답을 조금 알 수 있다. 그들은 통상적인 결혼 생활은 나아지지 않는다는 것을 여러 쌍의 부부가 평가한 만족도에 기초해서 발견했다. 만족도 평가는, 일반적으로 시간이 지나면서 떨어졌다. 

성공적인 결혼 생활은 발전이 아니라, 퇴보를 막는 것에 달려 있었다. 이것은 결혼이 비극이라는 뜻은 아니다. 

 

- 사랑의 전율은 시간이 지나며 사그라들기 때문에, 처음 부부를 결합시킨 행복감이 수십 년의 결혼 생활을 유지시킬 수는 없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부는 만족감의 또 다른 원천을 찾아, 전반적으로 만족한 수준을 유지한다. 

가끔은, 만족도가 너무 급격하게 떨어져, 결혼 생활이 끝나는 경우도 있다. 



위태로운 사랑


- 켄터키 대학교의 심리학자가 연구한 커플들의 문제해결 방식을 보면, 일반적으로 두 가지 방법, 즉 건설적인 것과 파괴적인 것이 있다. 이 두 가지를 각각 수동적인 것과 능동적인 것으로 나눌 수 있다. 

건설적인 방법은, 지혜롭고 바람직하게 들리지만 별 효과가 없었다.  수동적으로 계속 헌신하는 것은, 관계에 눈에 띄는 변화를 일으키지 않았다.

 

- 능동적으로 해결책을 찾아나서는 것은, 상황을 아주 조금만 개선시켰다. 중요한 것은 나쁜 것이었다. 심리학자들이 내린 결론은, "연인이 상대를 위해 하거나, 하지 않는, 좋고 건설적인 행동은, 관계에 별 영향이 없고, 중요한 것은 문제에 대한 반응으로, 

하거나 하지 않는 파괴적인 행동이다" 

 

- 당신이 조용히 상대를 위해 참는다면, 보통 상대는 그것을 알지 못한다. 그러나 말없이 상대방에게서 멀어지거나, 분노의 위협을 가하는 경우, 물고 물리는 복수의 악순환을 시작할 수 있다.

 

- 연인 연구를 이끈 캐릴 러스벌트는 말했다. "장기적 관계가 매우 어려운 이유는, 한쪽이 오랫동안 부정적이 되면, 다른 쪽도 부정적으로 반응하게 되기 때문이에요. 일단 그렇게 되면, 관계를 회복하기가 어렵습니다." 부정성은, 치료하기 어려운 질병이며, 전염성도 매우 높다. 

 

- 또 다른 연구는, 연인들에게 그들의 관계를 생각해 보도록 했을 때, 좋은 것보다는 나쁜 것을 생각하는 데 훨씬 많은 시간을 쓰는 것을 알아냈다. 나쁜 것을 넘어서기 위해서는, 부정성의 악순환이 시작되기 전에 멈춰야 한다

 

- 신혼부부들이 PAIR('친밀한 관계에서의 적응 과정 Processes of adaptation in Intimate Relationships')라는 장기 프로젝트에 참여했다. 펜실베이니아주 중심부에 사는 이 부부들은 결혼하고, 두 해 동안, 관계의 좋은 면과 나쁜 면을 심리학자들과 인터뷰했고, 학자들은 이것을 기록했다. 

 

- 어떤 사람들은 이미 배우자에게 양가적이거나 적대적이었지만, 대부분의 부부는 서로에게 많은 애정을 보여주었고, 몇몇 기념일을 축하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이런 초기의 부드러운 감정은 믿을 만한 전조가 되지는 못했다. 

10년이 더 지나고 난 뒤, '거의 어지러울 정도로 사랑에 빠졌던' 부부 중 상당수는 더 이상 함께하지 않았다. 

 

- 집단을 놓고 봤을 때, 이혼한 부부는 길고 행복한 결혼 생활을 하는 부부에 비해, 결혼 초기에 애정을 3분의1 정도는 더 표현했다. 단기적으로는, 그들의 열정이 걱정과 갈등을 해결할 수 있게 해줬지만, 그런 긍정적 감정이 결혼을 영원히 지속시켜 줄 수는 없었다.

 결국, 결혼의 지속 여부를 예측하는 것은 부부가 부정적인 것을 어떻게 해결하느냐다. 

 

- 부정성은 특히 젊은 사람들에게 크게 작용했는데, 이것이 일찍 결혼한 사람들이 늦게 결혼한 사람들보다 이혼할 확률이 높은 이유 중 하나다. 다른 이유로는 젊은 사람들이 돈이 더 적어서, 더 많은 스트레스를 겪을 수 있다

물론, 헤어지는 것이 더 나은 커플도 있지만, 훨씬 많은 수가 잘될 수도 있던 관계를 끝낸다. 



특별한 이유가 없는데도 헤어지는 커플들


- 커플 연구자들은 심지어 명확한 이유가 없는데도, 왜 관계가 망가지는지도 궁금해했다. 이론을 검증하기 위해, 심리학자 샌드라 머리와 존 홈스는 실험실에서, 커플들에게 설문지를 주고, 서로 등지고 앉게 했다. 

보조원들은 그들이 같은 설문지에 답할 텐데, 이때 어떤 방식으로도 소통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고 설명했다. 

 

사실 두 사람이 받은 설문지는 서로 달랐다. 하나는 상대방의 마음에 들지 않는 점을 묻는 설문지였다. 참여자들은 원하는 만큼의 성격 특성을 적을 수는 있었지만, 하나만 써도 좋다고 안내를 받았다

평균 1년 반 정도 데이트를 한 커플은, 불만이 없는 것은 아니었지만, 거의 꽤 만족하고 있었다. 연인의 이상적이지 못한 점 한두 가지만 적었다

 

- 다른 쪽의 파트너는 매우 다른 과제를 받았다. 집에 있는 모든 것을 적는 것이었다. 적어도 25개 이상의 물건을 적도록 지침을 받은 후 쓰기 시작했다. 실험 보조원이 5분 뒤 돌아왔을 때도, 여전히 적고 있는 사람이 많았다

그동안 그들의 파트너는 상대방이 적는 소리를 들으며, 할 일 없이 앉아 있었다. 

 

- 분명 자신의 개인적 실패를 길게 나열하는 증거라고 생각했을 것이다. 그들은 한두 가지 불만을 겨우 적었는데, 연인은 관계에 대해 아주 다른 관점을 취하고 있는 게 틀림없어 보인다. 이런 연구에서 늘 그렇듯, 

연인들은 나중에 속임수가 있었음을 알게 되어, 아무도 불행한 상태로 집에 가지는 않았다. 

 

- 그러나 사실을 알리기 전에, 실험자는 관계에 대해 좀 더 질문했고, 앞의 속임수가 어떤 사람들, 즉 자신감이 부족한 사람들에게는 큰 영향을 주었다. 자존감이 높은 사람들은 위협받는 느낌을 조금 가졌지만, 곧 이것을 털어버렸는데,

 상대가 자신을 가치있게 여긴다는 것을 알 만큼 자신감이 있었기 때문이다. 

 


-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비판이 쏟아진다고 생각하고, 그런 비판에 강하게 반응했다. 등 뒤에서 연인이 계속해서 적는 소리를 듣는 순간, 자존감이 낮은 사람들은, 상대방이 자신을 거부할까 봐 두려움을 느꼈으며, 결국 두려움에 통제권을 내주게 되었다. 

그들은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태도를 바꾸었다. 연인에 대한 존중과 애정도 낮추었다

 

- 자신의 관계가 덜 가깝고, 덜 믿음이 가고, 덜 낙관적이라고 느꼈다. 자신감이 없는 사람들의 이런 반응은 불필요한 것이었다. 왜냐하면, 자신감이 높은 사람들이, 그들의 파트너로부터 높은 가치를 인정받는 만큼, 

낮은 사람들도 그들의 파트너로부터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들은 자기에 대한 의심을 연인의 마음에 투사했다. 

 


스스로를 판단하듯이,
연인도 가혹하게 자신을 판단할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 

 


- 신혼부부 집단을 3년 동안 추적 조사한 결과, 이런 종류의 자기 보호는 관계에 특히 해롭다. 이런 부부는 대부분 관계를 잘 유지하고 있는 것처럼 보였지만, 한 사람의 자신감 부족이 문제가 되고는 했다

그들은 배우자를 정신적으로 밀어내거나, 진짜 위험이 없는데도, 관계를 평가 절하했다. 그들의 관계는 처음은 강렬했지만, 빠르게 무너졌다. 



자존감이 낮은 사람의 연애


- 연구진은, 자신감이 없는 사람들이 부정적으로 행동할 가능성이 가장 높다는 것을 알아냈다. 거절에 대한 두려움은 의심할 바 없이, 스트레스를 가중시켰다. 언쟁은 그들에게 단지 특정 주제에만 관련된 것이 아니라, 

뿌리 깊은 문제의 신호이자, 관계의 파탄을 예고하는 신호였기 때문이다. 그들은 부정성 편향에 너무 민감해서 불안 상태에서 살고 있었다.

 

- 겁에 질린 반응은 연인을 밀어냈다. 커플들을 몇 년 동안 추적한 끝에, 불길한 예언이 적중한다는 것을 알았다. 거절에 민감한 사람들은 특히 혼자 남겨질 가능성이 높았다. 거절에 대한 공포가 자기 충족적 예언(Self-fulfilling prophecy)이 된 것이다.  




관련 글: 상대방의 그럴싸한 헛소리를 알아내는 법 

관련 글: 개소리 하는 사람들의 특징 

관련 글: 그럴싸한 헛소리가 내 심리에 미치는 영향 


건강한 연애/결혼을 유지 |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건강한 연애/결혼을 유지  | 자존감을 높여야 한다. Reviewed by 해결사 on 12월 22, 2021 Rating: 5

댓글 없음:

Powered by Blogg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