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한 조직 직원을 행동으로 이끄는 방법 - 심리학자는 사람들이 어떤 대상에 대해 가지는 태도와 그 태도에 대한 확신(혹은 자신감)을 명확하게 구분한다. 예를 들어, 작년 크리스마스이브에 어떤 일이 일어났는가를 회상한다고 했을 때, 떠올려진 내용은 기억이다. 그 기억이 얼마나 정확한가에 대한 자신감은 별개의 문제다. 이런 구분은, 태도와 그에 대한 확신에서 중요하게 작용한다. 왜냐하면, 어떤 대상이나 사건 혹은 가치관에 대해 동의하든, 부동의하든, 태도를 가지는 것보다 훨씬 더 중요한 것이 그 태도에 부함하는 행동을 하는가의 여부기 때문이다. -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자신의 태도에 대한 확실한 자신감을 지니고 있을 때만 행동으로 연결한다. 그런데 문제는, 상대방을 설득한는 것은, 그 사람의 태도에 변화를 줄 수 있겠지만, 그 태도에 대한 확신에 영향을 주는 것은 전혀 다른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명쾌하게 보여준 연구가, 미국 버펄로대학의 연구진에 의해 발표됐다. 연구진은 사소한 물건에서부터 차별금지법과 관련한 사회적 이슈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에 대한 사람들의 태도와 그 태도에 대한 자신의 확실함을 물어봤다. 기초 분석 결과, 태도의 편차보다 확실함의 편차가 훨씬 더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좀 더 쉽게 말하면, 의견은 찬반으로 갈리더라도, 그 찬성과 반대에 대해 각 개인이 얼마나 확실한가에 있어서는, 훨씬 더 광범위한 차이를 보인다는 것이다. 즉, 태도보다 행동에 관여하는 변수들이 더 다양하다. - 그렇다면 같은 태도라 할지라도, 자신의 태도에 더 많은 확신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은, 그렇지 못한 사람들에 비해 무엇이 다른가? 연구진은 성격 변인에서 부터 주변 환경까지 다양한 요인들을 조사했다. 그 결과로, 두 가지의 중요한 측면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 최근에 긍정적인 경험을 많이 한 사람일수록, 자신의 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