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곡된 생각 바로 잡는 방법

왜곡된 생각 잡는법 왜곡된 생각 바로 잡는 방법 환자와 치료사를 위한 기본 도구 1. 긍정적 재구성 - 기분일지에 적은 부정적인 생각과 감정에 집중하면서, 각각의 생각에 다음 두 가지 질문을 던진다. (1) 이 부정적인 생각 또는 감정의 이점이나 유익은 무엇인가? (2)이 부정적인 생각 또는 감정에서 나와 내 핵심 가치관의 아름답거나 긍정적이거나 대단한 점을 찾는다면 무엇인가? 질문의 답을 긍정적 재구성 목록에 써 넣는다. 2. 마법 다이얼 - 긍정적 재구성을 끝낸 후, 각각의 부정적인 감정을 어느 정도씩 낮춰서 그 감정과 관련된 긍정성을 남겨둘 수 있는 마법 다이얼이 있다고 상상해보자. 기분 일지의 '목표(%)' 칸에 원하는 수치를 기록한다. 3. 직설 기법 - 각각의 부정적인 생각을 보다 긍정적이고 현실적인 생각으로 대신하려고 노력한다. '이 부정적인 생각은 정말 사실인가? 그 생각을 진심으로 믿는가? 상황을 달리 볼 수 있는 관점이 있는가?' 같은 질문을 자신에게 던진다. 동정심 기반 기법 4. 이중 기준 기법 - 우울해하는 대신, 친한 친구가 기분이 언짢을 때 해줄 법한 말을 자기 자신에게 해준다. '비슷한 문제가 있는 친구에게 그렇게 가혹하게 말할 것인가? 아니라면, 왜 아닌가? 친구에게 어떤 말을 해줄 것인가?' 등을 자문해본다. 사실 기반 기법 5. 증거 조사 - 부정적인 생각을 진실이라고 추정하는 대신 이 생각이 사실이라는 증거를 살펴본다. '사실은 무엇인가? 그 사실이 말하는 것은 무엇인가?' 등을 질문한다. 6. 실험 기법 - 과학자가 이론을 검증하듯이 실험으로 부정적인 생각의 타당성을 검증한다. '이 부정적인 생각이 정말 참인지 알아내기 위해 어떤 검사를 해야 하는가?'라고 물어보자. 예를 들어, 공황 발작이 생겨 통제력을 잃기 직전이라는 생각이 든다면, 의도적으로 미치려고 노력하는 방식으로 이 믿음을 검증해 볼 수 있다. 바닥을 뒹굴고, 팔다리를 허우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