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내가 분석한다 |신경증적 경향 파악 3단계

셀프 신경증적 경향 파악 3단계 신경증적 경향 파악 방법 - 신경증적 경향에 대한 인정이 있었고, 그 경향의 원인과 영향에 대한 발견이 있었고, 그 경향과 성격의 다른 부분들, 특히 다른 신경증적 경향들의 상호관계에 대한 발견이 있었다. 그렇다면 각 신경증적 경향을 다룰 때, 단계를 거치에 되어 있다. 각 단계가 분석될 때마다, 구조의 각 부분들이 보다 선명해진다. 그러다 마침내는 성격의 전체 구조가 분명하게 모습을 드러내게 된다. 이 단계들을 언제나 순서대로 거칠 필요는 없다. 더 정확히 표현하면, 어떤 신경증적 경향을 파악하기 전에 그 경향의 징후들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뜻이다. 각 단계는 특별한 치료적 가치를 지닌다. 1. 신경증적 경향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것 - 성격에 장애를 일으키는 동인이 있다는 점을 인정하는 단계다. 그리고 성격적 장애를 일으키는 동인이 있다는 사실을 아는 지식 자체가 치료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자신이 알지도 못하는 힘들에 휘둘리면, 무력감을 느낀다. 이 힘들 중 하나를 인식하는 것도 통찰력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무력감 일부를 벗어던지게 해준다. 장애를 일으키는 구체적인 원인에 대한 지식을 얻게 되면, 그 장애에 어떤 조치를 취할 기회가 있다는 깨달음이 생겨난다. 이런 변화는 간단한 비유를 빌려 쉽게 설명될 수 있다. 어떤 농부가 과수나무를 재배하기를 원한다. 그런데 나무들이 잘 자라지 않는다. 엄청난 노력을 기울여서 나무를 보살피고, 자신이 아는 치료법을 다 동원했는데도 결과가 신통치 않다. 그렇게 조금 시간이 지나면서 농부는 낙담하게 되었다. 그러다 마지막에 그는 나무들이 어떤 질병에 걸려 있거나 토양에 어떤 성분이 부족하다는 사실을 발견한다. 이어서 그 문제를 보는 그의 시각과 기분에 변화가 일어난다. 나무에는 아직 아무런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는데도 말이다. - 외부 상황에 나타난 유일한 차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