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는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믿는 대로 본다 | 정동 실재론
우리는 뇌가 믿는 것을 본다 보는 것을 믿는 것이 아니라 믿는 대로 본다 - 우리의 뇌는 고집불통의 과학자를 닮았다. 즉 예측은 즐겨 하면서도, 입력되는 증거에는 좀처럼 귀를 기울이지 않는다. 때때로 신체 예산을 관리하는 부위는, 매우 굼뜨게 예측을 수정한다. 최근 속이 거북할 정도로 너무 많이 먹었던 적이 있다면, 우리 뇌의 신체 예산을 관리하는 부위를 탓해야 한다. 신체 관리 부위가 하는 일 중의 하나는 체내를 순환하는 포도당의 수준을 예측하는 것인데, 이 수준에 따라 당신이 얼마나 많은 음식을 먹을 필요가 있는지 결정된다. 그런데 이 부위가 신체로부터 "이제 배불러" 라는 메세지를 제때 받지 않았기 때문에 계속 먹게 된다. "한 그릇을 비우기 전에 정말 아직도 배고픈지 확인하기 위해 20분을 기다려라" 라는 조언을 들은 적이 있다면, 이제 그 말뜻이 이해가 될 것이다. 우리의 신체 예산에 대규모의 예금이나 인출이 발생할 때마다 우리 뇌는 이것을 따라잡기까지 조금 기다릴 필요가 있다. - 마라톤 선수들은 이 원리를 잘 안다. 그래서 레이스 초기에 신체 예산이 아직 바닥나지 않았어도 일찌감치 피로를 느끼게 된다. 그래도 계속 달리다 보면, 불편한 느낌이 사라지게 된다. 이런 식으로 마라 토너 들은 에너지가 바닥났다고 주장하는 정동 실재론을 무시하는 셈이다. 신체로부터 받는 느낌이 신체의 실제 상태를 언제나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가슴에서 심장이 뛰는 느낌, 허파에 공기가 차는 느낌 같은 낯익은 감각과 전반적인 쾌감, 불쾌감, 동요, 평온 같은 느낌은 실제로우리의 신체 안에서 유래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이런 것들은 우리의 내수용 신경망에서 이뤄지는 시뮬레이션의 결과다. 정동 실재론이란? - 우리는 내 뇌가 믿는 것을 느끼게 된다. 그리고 정동은 기본적으로 예측에서 비롯된다. 정동 실재론이란, '우리의 뇌가 믿는 것을 우리가 보게 된다.'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