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소리를 하는 사람들의 특징

왜 개소리를 할까? (개인적 이유) 개소리를 하는 사람들의 특징 1. 객관적 증거를 무시한다. - 증거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는 개인은, 건전한 수준의 회의를 품고, 증거로 뒷받침되는 의견만 갖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또 무언가를 실용적 이익이 있다는 이유 만으로 믿지 않으며, 의견에 대해 근거를 제시하라는 요청을 받을 때 화내지 않는다. 오히려 증거를 저울질하고 나서야, 무언가가 좋은지 나쁜지 결정한다. 모든 사실을 파악하기 전에는 자기 의견을 제시하고, 토론하는 것을 삼가는 경향을 보인다. 하지만 개소리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이처럼 증거에 근거한 목표들을 세우지 않는다. 우리 주위에는 증거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는 사람이 생각보다 얼마 되지 않는다. 증거의 필요성을 강하게 느끼면서, 일관성 있게 사고하고 행동하려면 상당히 많은 수고를 해야 하는데, 이런 수고를 기꺼이 하는 사람은 거의 없기 때문이다. - 개소리하는 성향이 강한 사람들은, 진실과 증거에 무관심할 뿐 아니라, 제시된 증거에 우호적으로 반응하지 않는 경향 이 있다. 상대방이 냉정하고 확실한 증거에 대해 계속 비 이성 적으로 반응 한다면, 아마 개소리 꾼을 상대하고 있는 것이다. 증거의 필요성을 잘 못 느끼는 개인과 개소리하는 성향이 큰 개소리 꾼을 식별할 수 있는 확실한 신호 는, 증거나 데이터를 기꺼이 조작하는 것처럼 보이는 태도 이며, 이때 자주 나오는 것이 개소리다. 2. 자기 능력을 과대평가 한다. - 인지심리학자 세라 브렘과 랜스 립스가 실시한 연구에 따르면, 주제에 대해 적절한 지식을 갖춘 사람들은 , 대개 진정한 증거에 근거해 주장을 펼치고, 근거 없는 주장을 펼치는 것을 삼가 한다. 즉 지식을 갖추었을 때는 개소리할 필요가 없고, 증거를 더욱 인식하고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반면, 주제에 익숙하지 않을 때는 자기 의견을 말해야 할 의무를 느끼고, 상대방...